일반적으로 물가는 '경기가 좋을 때' 상승하고, '경기가 나쁠 때'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정부는 CPI 상승률을 기초로 국가의 경제 상태를 진단하고 정책의 방향을 결정합니다.
또한 CPI가 적절히 상승할 때, 경기는 살아나고 소비와 투자도 증가하는데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적정 기준은 전년대비 2.0%입니다.
CPI가 장기간 상승하는 경우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중앙은행은 기준 금리를 올려 인플레이션을 막으려고 하는데
CPI에 따라 금리의 방향을 예상하고 투자에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 물가지수 사이클
소비자 물가지수 (CPI, Consumer Price Index), 생산자 물가지수 (PPI, Producer Price Index) 물가 급등 → 소비 줄고 경제 악화 → 기준 금리 올림 → 은행으로 돈 몰림 → 주식,부동산 돈 줄어듬 → 자산가격 하락으로 물가 하락. 물가 하락 → 더 떨어질 거란 생각에 소비 줄고 경제 악화 → 기준 금리 내림 → 돈이 은행으로 안 가고 주식, 부동산 투자 → 자산 가격 상승, 물가 상승. ex) 코로나 발생 시 경기 나빠짐 → 기준 금리 내림 → 대출 많이 받음 → 돈의 양이 너무 많아져 물가 상승 → 주식, 부동산 가격 급등 → 과열된 물가 잡고자 기준 금리 인상
728x90
미국증시 & ETF
1. 나스닥 종합 지수(미국 4대지수)
- 기술주 중심으로 나스닥 시장 전체를 대표하는 지수 이며, S&P 500, 다우존스 지수, 러셀지수와 함께 미국 4대 지수를 말합니다.
▶ 나스닥 지수 나스닥은 한국의 코스닥과 비슷한 개념으로 봐도 되며, 1965년 12월에 출범했으며, 나스닥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3,000개 정도의 기업들 보통주를 시가총액 가중 평균하여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나스닥 시가총액 상위 100개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국의 기술성장 우량주(빅테크)의 움직임을 통하여 세계를 주도하는 미국 시장 파악에 용의 합니다. 한국의 코스닥이 나스닥을 벤치마킹해서 사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우지수, S&P500에 비해서 나스닥에 포함되는 것은 상대적으로 쉬운 편이며, 세계적인 벤처기업들이 자금 조달을 위해 상장되었습니다. 쉽게 말해 IT기업과 벤처기업들의 지수이며, 애플, 구글 등 대기업부터 바오 주, 신생기업들도 모두 포함됩니다. 나스닥을 추종하는 대표적인 ETF는 QQQ, QQQM 등이 있습니다.
▶ S&P 500 미국의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tandard & Poor's)에서 1957년 3월 4일 발표되어 시작된 지수로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500개 대형 기업이 포함되어있으며, 미국 상장기업 시가총액의 80% 이상을 포함합니다. 미국 증시를 가장 대표하는 주가지수라고 말할 수 있으며 뉴욕 증권거래소와 나스닥에 상장된 주식 중 500대 대형 기업의 시가총액 기준 주가지수로 기준 시점의 시가총액에 비해서 늘어난 현재의 시가총액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1957년 3월에 기준 지수를 100으로 시작했으면 공식적으로는 1982년 8월 12일부터 100으로 기준을 잡고 있습니다. S&P500의 연평균 수익률은 10%를 넘고 있으며, 워런 버핏의 경우에는 아내에게 자신이 사망한 뒤에 미국 국채에 10% 나머지 90%는 S&P500 인덱스펀드에 투자하라고 말했을 정도로 안정성과 수익률이 높습니다. S&P 500 지수 추종 ETF는 대표적으로 SPY, VOO, IVV 등이 있습니다.
▶ 다우존스 지수 다우존스 앤 컴퍼니의 창립자 '찰스 다우'가 고안한 주가지수로 1884년 7월 3일 발표된 가장 오래된 주가지수로 미국의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초우량주 30개만 종목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다이 지수, DJIA라고 불리며 특이한 점은 다른 주가지수들은 시가총액 가중방식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다우지수의 경우에는 기업들의 시장 가격의 평균하여 산출합니다. 시가총액 가중방식을 사용하는 S&P500에 비해서 종목이 30개밖에 되지 않아 대표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지만,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된 주가지수로 증시 흐름을 이야기하는 뉴스나 기사에 다우지수를 많이 사용합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를 추종하는 대표적인 ETF는 DIA가 있습니다.
▶ 레셀 지수 1984년 미국의 투자회사 러셀 인베스트먼트사가 만든 주가지수로 미국의 중소형주들이 종목에 포함됩니다. 러셀지수는 러셀 2000, 러셀 3000, 러셀 1000등이 있으며 미국에 상장된 1만 개가 넘는 기업들의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선정되며, 상위 3000개가 포함된 것이 러셀 3000, 상위 1000개 기업은 러셀 1000, 러셀 3000에서 상위 1000개 기업을 제외한 것이 러셀 2000으로 미국의 중소형주를 대표하는 주가지수입니다. 미국의 민간경기와 밀접한 지수이기 때문에 실물경제의 상황을 판단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러셀 2000을 추종하는 대표적인 ETF는 IWM이 있습니다. 러셀 3000 : IWV, 러셀 1000 : IWB
2. MSCI 신흥국 지수
MCSI 지수는 모건스탠리의 자회사, '모건 스탠리 캐피털 인터내셔널' 에서 발표하는 세계 주가지수를 부르는 말입니다. 23개의 선진국 시장과 28개의 신흥국 시장을 대상으로 각국의 주식을 업종별로 분류하여 종목을 선택해 편입시키고 제외시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역할이 커지면서 그들이 투자에 참고하는 지표의 움직임은 국내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경기종합지수는 고용, 생산, 소비, 투자, 대외, 금융 등의 지표들을 이용하여 매월 발표되는데,
경기종합지수 보는 방법은 경기종합지수가 전월에 비해서
+인 경우에는 경기가 상승, -인 경우에는 경기 하강을 뜻합니다.
기준 연도를 100으로 놓고 100보다 숫자가 크면 경기가 좋다는 의미이며
100보다 작으면 경기가 나쁘다라는 의미로 해석하면 되겠습니다.
특히, 경기선행지수가 지난달보다 올라가면 경기 상승, 내려가면 경기 하강을 뜻합니다.
현재의 경기를 파악할 때는 주로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를 이용하여 판단합니다.
이 지표가 2분기 이상 상승하면 경기 확장기, 하강하면 경기 수축기로 간주합니다.
또한 가장 높을 때를 경기 정점, 가장 낮을 때를 경기 저점으로 판단합니다.
경기종합지수(CI)는 세 가지로 나뉩니다.
경기선행지수(Composite Leading Index, CLI)
경기동행지수(Coincident Composite Index, CCI)
경기후행지수(Lagging Composite Index, LCI)
경기선행지수(CLI)는 특정 경제 지표들의 움직임을 따라 경제 활동의 추세를 예측하는 지표 입니다. 경제 활동의 추세를 예측하는 선행지표로서, 경제가 현재 어떤 상황에 있고 6개월 후에는 어떤 추세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경기선행지수 구성지표
경제부문
지표명
내용
작성기관
생산
재고순환지표
현실 경제에서 경기의 좋고 나쁨에 따라 재고의 증가 감소 현상이 발생 됩니다. 기업은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재고를 비축하거나 처분하는 과정에서 생산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러한 행동이 반영되는 지표
통계청
생산, 소비
경제심리지수
BSI(32개), CSI(17개) 중 경기 대응성이 높은 7개 항목의 가중평균
한국은행
투자
기계류내수 출하지수
제조업체에서 직접 생산한 제품을 다른 이들에게 판매하는 활동의 추이를 반영하는 지표 설비용 기계류에 해당하는 69개 품목(선박제외)
통계청
건설 수주액 (실질)
건축물을 건설하기 위하여 주문을 받은 금액, 건축물의 건설은 단기간에 이루어지기 힘들기 때문에 미리 수주금액을 정한 뒤 조금씩 건설단계가 진행되며 수주금액이 처리가 됩니다. 수주액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앞으로 건설해야 할 곳들이 많다는 뜻으로 경기가 좋다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종합건설업체의 국내 건설 공사 수주액
통계청
대외
수출입 물가비율
수출 또는 수입되는 상품의 가격 변동을 파악하고 해당 가격 변동의 추이를 반영한 지표 수출물가지수 ÷ 수입물가지수 × 100
한국은행
금융
코스피
국내 주식시장인 코스피의 종합 주가 지수 (월평균)
한국거래소
장단기금리차
일정 시점에서 장기금리와 단기금리의 차이, 장기 금리와 단기금리의 차이로 미래의 경기 상황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국고채유통수익률(5년, 월평균) -무담보 콜금리(1일물, 중개거래, 월평균)
한국은행
확인방법 꿀복이네 ▷ e나라지표 검색, 지표누리 (www.index.go.kr)에 접속을 하고 검색어에 '경기종합지수'를 입력하면 손쉽게 경기지수에 대한 자료를 얻을 수 있습니다. ▶ OECD 검색(www.oecd.org)에 접속하여 좌측 상단 검색창에 'CLI' 또는 'composite leading indicator' 검색하여 제일 상당에 나오는 OECD Data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OECD 경기선행지수가 나오고 아래에 각 회원국의 경기선행지수와 기간 설정 등의 옵션을 설정 하여 확인 가능합니다.
경기동행지수(CCI)는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현재의 고용, 소비, 생산, 서비스업 등의 지표들을 통하여 현재 경제의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경기동행지수는 기준연도를 100으로 두고 현재 지표가 얼마나 올랐나 내렸나를 따집니다.
경기동행지수 구성지표
경제부문
지표명
내용
작성기관
고용
비농림어업 취업자수
취업자수 - 농림어업취업자수
통계청
생산
광공업 생산지수
광업, 제조접, 전기, 가스업(대표 품목 485개)
통계청
서비스업 생산지수
도소매업 제외
통계청
소비
소매판매액 지수
소매업, 자동차 판매 중 승용차
통계청
내수출하 지수
광업, 제조업, 전기, 가스업(내수용)
통계청
투자
건설기성액(실질)
건설업체에서 시공한 공사액
통계청
대외
수입액(실질)
수입액(CIF) ÷ 수입물가지수
관세청
확인방법 꿀복이네
경기후행지수(LCI)는 경기 변동을 사후에 확인하는 지표로써 생산자제품재고지수, 소비자 물가지수 등과 같은 5개 지표로 구성됩니다.